클라이언트의 행복한 삶의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겠습니다.

당신은 참좋은 사람입니다.

지식 31

느티나무

느티나무 학명 : Zelkova serrata 과목 : 느릅나무과 꽃 :4-5월 담황록색(한나무 안에 암술수술이 따로 핌) 열매 : 10월 등황색(핵과) 수고 : 30m 정자나무로 느티나무를 최고로 침 느티나무가 정자나무가 된이유 : 잎이무성하고 , 녹음이짙고, 병충해가 발생되지 않음 나무의 수명이 길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느티나무 13건 ( 은행나무19건, 소나무17건 다음으로 많은수) 현존하는 최고령의 느티나무는 부산시 기장군 함안읍에 있는 노거수 (나이 1300살로 추정) 우리나라의 주요 느티나무 천연기념물1. 제161호 - 제주 남제주군 표선면 성읍리 881 (수령1000년)2. 제192호 - 경북 청송군 파천면 신기리 659 (수령150년)3. 제273호 - 경북 영풍군 안정면 단촌리 183(..

지식/식물 2015.10.07

가이즈까 향나무

가이즈까 향나무 학명 : juniperus chinensis var. kaizuka hort 과,속 : 측백나무과 향나무속 분 류 : 상록침엽수 햇빛 : 햇빛을 좋아함 토양 : 비옥한 사양토 용도 : 토피어리, 심볼트리, 산울타리 관상 : 수형 꽃/열매: 4월에 피고 열매는 10월~11월 새 순 : 3월~4월 전 정 : 2월~3월, 10월~11월 비 료 : 밑거름 2월~3월 , 시비 6월 * 정원수로 가장 많이 심는 종류 * 옛날에는 고급 주택의 정원에 심어져 있던나무라서 부러움의 대상이 됨 * 일제 감정기 이후 가장 많이 심겨진 나무 * '일본나무'로 인식 고유한 우리 문화유적지에는 심지 않는 것이 좋다. * 토피어리용으로 많이 사용 나무의 특징과 성질 * 일본에서 개발된 향나무의 원예종 - 가이즈카는..

지식/식물 2015.09.30

정원 토피어리

토피어리의 유래 : 로마시대 정원을 관리하던 한 정원사가 자신이 만든 정원의 나무에 '가다듬다'는 뜻의 라틴어 토피아(topia)를 새겨넣은 데서 유래, 형상수라고도 합니다. 정원수 속에 만들고자 하는 틀을 넣고 전정하여 원하는 수형을 만들어감. 17~18세기 유럽에서 유행 20세기에 들면서 토피어리를 실외뿐만아니라 실내에 장식품으로 사용됨 토피어리의 적합한 수종 : 주목, 꽝꽝나무, 향나무, 피라칸다, 사철나무, 월계수, 눈주목, 가이즈까향나무, 애기동백나무 토피어리란 ? 식물의 수형을 원추형, 구형등의 기하학적 모양이나 동물 혹은 물체의 모양을 만드는것 토피어리 최초의 기록 : 고대 로마의 플리니우스가 저술한 『박물지』 - 당시 노예 정원사가 산울타리를 가다듬다 라는 뜻의 라틴어 토피아를 써넣은 것이..

지식/원예 2015.09.30

머위

머위 학명:Petasites hybridus , petasites japonicus 과 : 국화과 원산지 : 유럽, 아시아 꽃 :3-4월 열매 :원통형 높이 : 50cm 꽃모양 : 매우 독특하고, 암꽃과 수꽃이 따로 자라는 2가화 방식, 백색의 암꽃이 먼저 자라고 그뒤에 황백색의 수꽃이 자람 머위는 습지에서 잘자란다. 학명의 페타시테스는 챙이 넓은 모자를 뜻하는 그리스어 ‘페타소스’에서 유래 일부서식지에서 지금까지도 머위 잎을 즉석해서 우산으로 쓰이기도 한다. 여름에 교반기에서 갓 꺼낸 신선한 버터를 싸는 용도로 머위잎을 사용, 우리에게 잘알려진 ‘버터버’ 라는 이름이 유명하다. 유래 : 독특한 향기로 겨울잠에서 깨어난 곰의 체력을 보충할 목적으로 가장 먼저 찾아 먹는다고 알려져 있다. 용도 : 편두통과..

지식/식물 2015.09.22

육종

육종과 육종학 : 식물의 특성을 인간이 원하는 방향으로 개량 +유전적 접근방법을 사용 유전 (heredity) : 양친의 유전적 형질이 자손으로 전달되는현상 유전자(Gene) : 형질의 유전단위, dna의 특정한 염기서열에 의해 형질의 정해짐 순화(domestication) : 자연에 존재하는 식물종이나 변이체 중 유익한 것 선발, 재배 유전적 취약성 (Genetic vulnerability) : 단일품종 대규모 재배 → 품종의 획일화 유전적 침식(Genetic erosion) : 자연적 인위적원인에 의해 재래종 유전자원의 소실 고전육종의 한계 -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됨, 교배장벽으로 인해 같은종 내에서만 유전자 교류 - 육종기술은 확률에 의존하므로 때로는 원하는 유전자만 들여오기 힘듦 - 연관지체현..

지식/원예 2015.09.16

광합성의 자세한 내용

1. 엽록체의 구성 ① 단백질 ② 지 질 - 막구성 (글리세롤+지방산) ③ 색소와 조효소 ④DNA,RNA,리보솜 2.카르복실라아제:광합성반응에서 CO2고정 옥시게나아제: 산소고정하여 광호흡유도 3.광합성의 의의 ①무기물로부터 유기물 합성 ②생물의 유기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생성 ③태양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전환 4. 명반응 ①엽록소(LHCP복합체)에 의한 광흡수 ②물의 광분해 ③전자전달과 에너지생산 5. 광합성의 명반응: 에너지 획득과정 ①반응이 일어나는 장소 : 그라나 ②반응에 필요한 재료 : 물과 빛 ③반응종류: 광화학반응 (광분할, 광인산화반응) ④생성물 : ATP,NADPH2,산소 6. 광인산화 반응 ①암반응에 필요한 ATP생성과정 ②광화학반응 2개 반응계가 참여 (PSl,PSll) ③광인산화반응은 ..

지식/원예 2015.09.12

유채

유채 학명 : Brassica napus L. 이명 : 호무 개화 : 3월-4월 결실 : 5월~6월 분포 : 제주와 남부지방 에서 재배 유채의 역사 1960년대 유엔군에 군납이 시작되면서 제주도에 유채 재배가 성행, 제주도의 거친 토양과 기후에 알맞아서 제격이었다. 1970년대 말 제주 경작지의 25퍼센트 차지, 농가에 소득을 안겨줌으로 인해 각광을 받음 유채의 종류와 이용방법 유채는 평지, 호채, 청채, 예태채 등으로 불림 유채의 연한 잎과 줄기는 김치, 나물, 국거리로 이용한다.유채로 만든 물김치는 계절별미다. 유채씨는 운대자라고 해서 지혈에 이용 기관지나 천식에 유채씨가 좋다고 함 종기가 나서 붓거나 가렵고 열이 날때 유채씨사용 유채에서 채취한 채종유는 예전부터 호롱불을 켤때 사용고, 제1차 세계대..

지식/식물 2015.07.22

감자

감자 학명 : solanum tuberosum L. 영명 : potato, white potato, Irish potato 특징 : 원산지는 안데스산맥 인근 , 여러해살이 풍 개화 : 6월 (백색,자주색) 결실 : 7-8월(황록색) 분포 : 전국재배 주요독성물잘 : 솔라닌, 차코닌 감자의 역사 남미가 원산지인 감자가 북미까지 도달하는데 200년 스페인 정복자들이 페루의 감자를 유럽에 처음 소개한 후 본격적으로 재배 식용으로 정착 한 것은 100년걸렸다. 감자를 처음 접한 유럽인들 땅속의 덩이줄기를 먹는다는 것을 신기하게 여겨 관상식물로 재배 프랑스에서 최초로 감자를 재배한 사람은 자신의 수확물을 내팽개치기도 함 감자는 결핵, 한센인과 같은 질명이 연관되었다는 두려움에 거부감을 일으키기도함 1619년 프랑..

지식/식물 2015.07.18

지피식물이란?

반갑습니다. 이번시간 부터 배울 것은 지피식물인데요.차근차근 배워 보도록하겠습니다~ 1. 지피식물이란?경관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부류의 식물을 소재로 지표면을 치밀하게 덮으며 생육초기 50~100m이하로 성장, 지상부의 성장은 더디면서지하경이 뛰어나다. 잎,꽃,열매 수형등이 관상적 가치를 지닌다. 병해충의 내성이 강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다.재배및 공급이 원할한 종으로서 이러한 조건을 갖춘 관목 및 초본류의 식물을 총칭한다.수목과 더불어 하나의 독립된 식재단위로 사용되는 경우 지피가 키가 작기때문에 주로 하부 식재용으로 심는다.식재구성에는 교목, 관목, 지피 순이며, 지피식물은 식재의 최하층 대부분이 음지 조건이므로 내음성이 강한 식물을 심는다 2. 지피식물의 종류지피식물은 사용목적에 따라 관목또는 교목이..

지식/원예 2015.07.03